컬럼 활용

Enter 키를 누르면 오른쪽 열로 이동 후 에디트 상태

QCELL 그리드 설정으로 useenterkeytonextcol : true를 사용하면 Enter 키를 누를 때마다 포커스가 오른쪽 열로 이동한 후 에디트 상태로 전환됩니다.
컬럼 타입이 없거나 static 또는 setCellDisable, setColDisable 함수를 사용하여 컬럼이 비활성일 때는 다음 포커스로 이동합니다.

공통으로 처리하는 방식으로는 <script>QCELL.config.useenterkeytonextcol = true;</script>처럼 사용하시면 됩니다.




2019-04-10
라면류
Y
라면류
Y
라면제품에 대한 카테고리입니다.
홍길동
2019-04-10
주류
N
주류
N
주류에 대한 카테고리입니다.
김길동
2019-04-10
우유류
Y
우유류
Y
우유류와 유제품에 대한 카테고리입니다.
박길동
2019-04-10
통조림류
Y
통조림류
Y
캔으로된 통조림에 대한 카테고리입니다.
최길동
2019-04-10
라면류
Y
라면류
Y
라면제품에 대한 카테고리입니다.
홍길동
2019-04-10
주류
N
주류
N
주류에 대한 카테고리입니다.
김길동
2019-04-10
우유류
Y
우유류
Y
우유류와 유제품에 대한 카테고리입니다.
박길동
2019-04-10
통조림류
Y
통조림류
Y
캔으로된 통조림에 대한 카테고리입니다.
최길동
2019-04-10
라면류
Y
라면류
Y
라면제품에 대한 카테고리입니다.
홍길동
2019-04-10
주류
N
주류
N
주류에 대한 카테고리입니다.
김길동
2019-04-10
우유류
Y
우유류
Y
우유류와 유제품에 대한 카테고리입니다.
박길동
2019-04-10
통조림류
Y
통조림류
Y
캔으로된 통조림에 대한 카테고리입니다.
최길동
2019-04-10
라면류
Y
라면류
Y
라면제품에 대한 카테고리입니다.
홍길동
2019-04-10
주류
N
주류
N
주류에 대한 카테고리입니다.
김길동
2019-04-10
우유류
Y
우유류
Y
우유류와 유제품에 대한 카테고리입니다.
박길동
2019-04-10
통조림류
Y
통조림류
Y
캔으로된 통조림에 대한 카테고리입니다.
최길동
2019-04-10
라면류
Y
라면류
Y
라면제품에 대한 카테고리입니다.
홍길동
카테고리ID
등록날짜
카테고리명
사용여부
카테고리명
사용여부
설명
등록자

<!DOCTYPE html>
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
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